응모 자격
전국 초∙중∙고등학생
※ 유치원 및 미취학 아동은 참가할 수 없으며, 동일 연령대 청소년 참가 가능
응모 주제
나눔은 ○○이다
① 내가 생각하는 나눔이란?
② 나눔에 대한 자유로운 표현하기
③ 학교(일상)생활 속 다양한 나눔 실천방법 소개
④ 환경을 지키는 나눔이야기
응모 부문
부 문 |
부문별 주제 |
글 |
○내가 생각하는 ‘나눔’이란? (시/산문)
○직접 체험 혹은 실천한 나눔 경험 이야기 |
이미지 |
○나눔 실천을 잘 표현하고 함축할 수 있는 이미지
(손그림/포스터/일러스트/만화·웹툰) |
영상 |
○일상생활 속 실천할 수 있는 나눔 혹은 나눔의 중요성을 주제로 한 영상
(영화, UCC, 인터뷰, 애니메이션, 광고 등 모든 형식의 동영상 콘텐츠) |
※ 단체 접수의 경우 편의를 위해 이메일 또는 우편 접수 가능
이메일 : 운영사무국 nanumcontest@gmail.com
우편 :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 41길11 SKV1센터 E동 1706호
부문별 작품 규격
부 문 |
규 격(안) |
글 |
①시 : A4용지 2매 내외(바탕체,13p,줄간격 160%)
②산문 : A4용지 3매 내외(바탕체,13p,줄간격 160%)
※ 개인 참가만 가능 |
이미지 |
- 손그림, 포스터, 일러스트, 만화·웹툰 형식의 자유창작물
- 규격
①손그림, 포스터 : 초등학생 - 8절도화지, 중·고등학생-4절지
②일러스트 : 초등학생 A3, 중·고등학생 A2, 150dpi
③만화·웹툰 : 10컷 내외 스토리가 완결된 상태의 작품
-파일형식 : jpg, jpeg, png
※ 개인 참가만 가능, 그림재료 자유
※ 손그림(실물작품)의 경우 작품을 스캔하여 온라인 제출
(수상작에 한해 실물 작품 제출 별도요청)
※ 작품설명이 잘 표현된 작품을 우선 선정함 |
영상 |
- 영화, UCC, 인터뷰, 애니메이션, 광고 등 모든 형식의 동영상 콘텐츠
- 규격 : 10초 이상 3분 내외의 영상
가로,세로 구분없이 유튜브 업로드 가능한 해상도로 제출
해상도 1280x720 pixel 권장
- 파일용량 : 500mb 이하로 압축하여 제출
- 파일형식 : mp4, avi, wmv, mov
※ 개인 및 팀(최대 5인) 참가 가능
※ 유튜브 업로드하여 저작권 위반확인 후 공모전 홈페이지를 통해 업로드 주소(URL)를 포함하여 온라인 제출 (필수 해시태그 : #사랑의열매 #나눔공모전)
(수상작에 한해 원본 파일 제출 필수) |
* 부문별 1개 (총 3개) 중복 참여 가능
시상 내역
1. 개인 부문
영상 부문의 경우, 팀 단위 응모 시 팀 단위로 시상(개인별 상장 및 상금 수여 불가)
상 격 |
소 계 |
부문/학령 |
초등학교 |
중학교 |
고등학교 |
저 |
고 |
교육부장관상 (20만원) |
4명(팀) |
통합부문 |
1 |
1 |
1 |
1 |
시도교육감상 (10만원) |
50명(팀) |
통합부문 |
17 |
17 |
16 |
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상 (5만원) |
60명(팀) |
통합부문 |
30 |
15 |
15 |
한국초중고등학교교장총연합회이사장상 (3만원) |
170명(팀) |
통합부문 |
86 |
42 |
42 |
사회복지공동모금회지회장상 (1만원)
|
400명(팀) |
통합부문 |
180 |
110 |
110 |
계 |
684명(팀) |
2. 단체상 부문
상 격 |
참여학교별(개교) |
소계 |
초등학교 |
중학교 |
고등학교 |
교육부장관상 |
1개교 |
1 |
시도교육감상 |
44개교 |
15 |
15 |
14 |
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상 |
60개교 |
20 |
20 |
20 |
계 |
105개교 |
|
3. 지도교사 부문
상 격 |
시상규모(명) |
교육부장관상 |
1명 |
시도교육감상 |
10명 |
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상 |
34명 |
계 |
45명 |
응모 일정
※ 추진일정은 추진상황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음
주요내용 |
일 정 |
비 고 |
작품 접수 |
5/9 ~ 7/8 |
공모전 작품 접수 |
심사
(예비, 1차, 2차, 표절심사) |
7/25 ~ 9/30 |
|
수상자 최종검증 |
9/21 |
|
결과 발표 |
10월 중 |
사랑의열매 및 공모전 홈페이지 |
시상식 |
11월 중 |
코로나19 상황에 따라
오프라인 혹은 온라인 시상식 진행 |
심사 기준
주제이해도(30%), 호소력(30%), 독창성(20%), 작품성(20%)
유의사항
- 접수 마감 시간에 임박하여 제출 시 시스템 오류 등으로 제출이 불가할 수 있으니 가급적 접수 마감 시간 이전에 제출하여 주시기 바라며, 접수로 인한 문제(메일전송 실패, 첨부파일 누락 등) 발생 시 책임은 응모자에게 있음
- 응모작의 저작권은 저작자인 응모자에게 있으며, 응모작 수상 후에도 입상자에게 귀속됨.
주최기관은 수상작에 한하여 향후 3년간 공모주제와 연관된 비영리·공익적 목적에 한하여 복제·전송·배포·전시·공중송신을 할 수 있음
- 응모하는 모든 제작물은 초상권, 저작권, 지적소유권, 음원, 재산권, 대여권 등 (사진, 이미지, 음원, 영상, 폰트 등)의 이용에 법적인 문제가 없어야 하며, 원 저작자의 허락이 필요한 경우 이용 허가를 받은 후 활용해야 함
- 응모작품은 국내외 타 공모전, 문학지 등에 출품되지 않은 순수 창작품이어야 하고, 표절, 도용, 모방 작품으로 판명될 경우 심사에서 제외되며, 수상 이후라도 표절 등 판명 시 수상 취소와 상금 등을 회수함
- 위의 항목과 관련해 분쟁 발생 시 모든 법적 책임은 응모자에게 있음
- 추후 원본파일이 없을 경우 심사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, 심사 결과에 따라 수상자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음
- 영상 부문에 팀(2인 이상 5인 이하)으로 응모할 경우, 상금은 응모자 1명 기준으로 지급하며, 주최기관은 배분 문제에 관여하지 않음
- 잘못된 개인정보로 인한 경품 및 상금 수령의 불이익은 책임지지 않음
- 위 공고 내용은 주최(주관)측의 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으며, 기재되지 않는 사항 발생 시 관련 규정 등을 참고하여 주최(주관)측에서 결정함
- 본 공모전에 작품을 제출한 자는 위의 모든 내용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함
- 수상작과 관련하여 저작권 분쟁 등 법적분쟁 발생 시 모든 법적 책임은 응모자에게 있습니다.
-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입선이상 당선작에 한하여 3년 동안 복제 및 전송할 수 있습니다.
문의사항
- 공모전 운영사무국: 02-6954-1303 (월-금 10:00~18:00/주말 공휴일 제외)
- 카카오톡 플러스친구: @나눔공모전
응모 자격 (다음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)
- 학교 현장에서 나눔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온 교사
- 정식 교사 자격증을 소지(기간제 교사 포함)하고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 만 3년 이상 재직한 교사
- 해당 학교장이 추천한 교사
※ 위 항목 모두 해당되는 자에 한함
[지원 제한 대상]
- 영리적 목적의 교육(사교육) 기관 소속인 자
- 수공기간 중 징계를 받거나, 기타 수사 중이거나 각종 언론보도 등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포상이 합당치 않다고 판단되는 자
- 최근 3년 이내 주최된 전국 단위의 대회에서 장관표창 이상 수상자
※ 최근 3년 이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주최 대회 혹은 전국 단위의 대회 수상자 중 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상 혹은
시도교육감상을 수상한 자는 본 나눔공모전에서 그 이하 등급의 상을 수상할 수 없음
시상 내역
시상부문 |
규 모 |
비 고 |
교육부장관상 |
1명 |
전국 시도교육청 소속 학교의 교사 모두 신청 가능 |
시도교육감상 |
10명 |
상훈이 확보된 시도교육청 소속 학교 교사에 한함
(부산, 대구, 인천, 대전, 강원, 충북, 충남, 전북, 전남, 제주) |
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상 |
34명 |
전국 시도교육청 소속 학교의 교사 모두 신청 가능 |
※ 해당 부문에 적격자가 없을 경우 선정 및 시상이 생략될 수 있음
선정 기준
나눔공모전 학생참가율 및 입상률(40%) 및 나눔교육 실천 공적(60%)의 합산점수로 선정
구분 |
나눔공모전 참여기여도(A) |
나눔교육 공적(B) |
내용 |
해당학교의 제10회 나눔공모전 학생 참가율 및 입상률 |
나눔교육 실천 공적 |
비율 |
40% |
60% |
※ 나눔교육 공적 평가요소: 실천노력(40%), 실제공헌도(30%), 파급성(30%)
- 나눔교육 공적은 학생들의 일상 속 나눔 의식을 고취하고 실천을 독려하기 위한 지속적인 나눔교육 활동 사례를 제출해야 함.
- 다음 각 호의 나눔교육 활동 유형 중 1가지 이상의 실천 사례
■ 나눔교육 활동 유형 (예시)
- - 나눔수업 :
- 교육과정 내 5시간 이상 나눔을 주제로 한 수업 실시
- - 학급운영 :
- 나눔일기, 학급나눔신문, (재능/물품)나눔장터, 나눔텃밭 가꾸기 등 학생들이 학교생활 내에서 나눔 가치를 내재화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학급운영
- - 동아리활동 :
- 다양한 나눔 활동을 펼칠 수 있는 동아리 활동에 적극 참여 혹은 운영
- 가정 및 지역사회 연계활동: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할 수 있는 나눔실천 활동예) 기부(시간, 돈, 재능, 힘), 봉사 등
응모 일정
접수기간 : 2022. 5. 9(월) ~ 7. 8(금)
발표일 : 2022년 10월 중
시상식 : 2022. 11월 중 예정(수상자 발표 당일 일정 공지)
제출 서류
나눔교육 지도교사상 추천서식
*공지사항에서 첨부파일 다운로드
접수 방법
나눔공모전 홈페이지 접수 (www.나눔공모전.com)
※ 첨부파일의 양식을 다운로드하여‘한글’로 작성
파일명은‘지역명_학교명_후보자성명’으로 제출
(예:충북 열매초등학교 홍길동.hwp)
유의사항
제출 서류에 허위의 사실을 기재하거나 기타 부정한 방법 등으로 신청한 경우는 선정을 취소할 수 있으며,
심사결과는 공개하지 않습니다.
공정성 확보를 위해 홈페이지에서 공개검증 절차를 거칠 예정이며, 공개검증 결과에 따라 선정이 철회 또는 취소될 수 있습니다.
문의사항
공모전 운영 사무국 : nanumcontest@gmail.com
카카오톡플러스친구 : @나눔공모전